문헌록 전자족보(대동보) > 문헌록
           
1. 문헌 목록 〉20. 20世 〉39. <부정공>괴헌기(槐軒記)휘연근(諱演根)
1. 문헌 목록 〉20. 20世 〉41. <부정공>귀계기(龜溪記)
1. 문헌 목록 > 20. 20世 >  
40.<부정공>이기헌기(二既軒記)휘우석(諱禹錫)휘창석(諱昌錫)
二既軒記 祖相好而軒曰二既盖相好相猶二相相反去彼就此相好有井友于之篤十世無替民到于分稱之若夫既其既翁二既既同我邁爾征枕被終身湛樂之義二字可揭寔相好之餘意而賢祖之肖孫二公之父母其順宜如夫子之所贊也父母其順祖孫相承亦可知孝友之一致也兄禹錫弟昌錫趙氏玉川人昌錫氏分室其子以躬行之餘扁之以是以詔子孫爲公子孫不忘於公如公之於相好公則公之遺志得子孫而益彰如相好公之心得公而無墜矣公之族弟昌赫從余遊説其事遂記之 幸州 奇字萬 記 이기헌기(二既軒記) 할아버지는 상호정이요, 자기 첨우(檐宇)는 이기(二既)이다. 대개 서로 좋아하고 서로 같은 두 상(相)이 서로 틀리니 저를 버리고 이를 취한 상호(相好)로 이르만 정자의 우애독실함이 十대가 넘도록 변함이 없음을 백성이 지금까지 칭도하였다. 대저 이미 갖추고 이미 화흡하여 두 가지를 다한 것이 이미 같으니 내가 네가 가는 곳을 따라가서 한 베개와 한 이불로 몸을 마쳐 담락(湛樂)의 뜻 두 글자를 가히 거니 이는 이 상호(相好)의 남은 뜻이요, 어진 할아버지에 어진 손자인 두 공의 부모가 그 순하고 옳음이 공자(孔子)가 찬한 바와 같도다. 부모가 순하고 조손(祖孫)이 서로 이으니 가히 효우(孝友)가 일치함을 알겠도다. 형님 우석(禹錫), 아우 창석(昌錫)은 옥천 조 씨로 창석 씨가 분가(分家)하였는데 그 사람이 몸소 행한 나머지로써 이와 같이 액호(額號)하여 자손에게 가르치니 공의 자손 된 자 공을 잊어버리지 아니함이 공이 상호공께 한 것과 같을 것이니 공의 끼친 뜻이 자손을 얻어 더욱 밝음이 상호공의 마음이 공을 얻어 떨어짐이 없는 것과 같을 것이다. 공의 족제 창혁(昌赫)이 나에게 배우면서 그 일을 말하므로 마침내 기록한다. 幸州 奇宇萬 씀
 
1. 문헌 목록 〉20. 20世 〉39. <부정공>괴헌기(槐軒記)휘연근(諱演根)
1. 문헌 목록 〉20. 20世 〉41. <부정공>귀계기(龜溪記)